전체 글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한민국 이혼율? (ft. 통계함정) 매스컴에서 이혼율이 50%라고 하는데 이게 맞는건가? 주변에 이혼하는 사람이 흔한 경우는 아닌 것 같은데. 이상하다. 통계청 자료를 통해 확인해보자. 계산방식 통계청에서 아주 이상한 기준으로 이혼율을 계산하고 있다. 크게 3가지 방식으로 계산하고 있다. 1. 조이혼율 - 당해이혼인구/당해인구전체로 분모를 인구전체대상으로 이혼율을 계산 - 이 지표를 왜 쓰는지 모르겠다. 2. 일반 이혼율 - 당해이혼인구/당해15세이상인구로 분모를 15세 인구대상으로 이혼율 계산 - 이 지표도 문제가 있다 3. 유배우 이혼율 - 당해이혼인구/당해15세이상배우자있는인구로 분모를 15세이상배우자가 있는 인구 대상으로 이혼율 계산 - 이 지표도 역시 문제가 있다. 이혼율을 제대로 계산하려면 결혼을 했고 그 사람을 계속 추적해서 .. 주택임대소득 월세도 세금을 낸다. 세금 얼마일까? 주택임대소득 월세도 세금을 낸다. 세금이 얼마일까? 1. 과세대상 - 1주택자는 기준시가 12억원(고가주택)에서 월세를 받으면 과세대상이다. - 2주택자는 모든 보증금/전세금이 과세대상이다. 2. 주택임대소득세계산 - 임대수입이 2천만원(월166만원) 이하이면 분리과세(세율14%)가 가능하다. - 미등록 임대주택 기준으로 계산해보자. 월세 120만원을 받으면 5.5%의 임대소득세를 내야한다. 결론 2주택자이고 월120만원 임대수익을 받는다면 연80만원(월 6.6만원)세금이 부과되어 실제 113만원을 받게된다. 2주택자가 1주택을 매도했을때 양도세 얼마일까? (ft. 양도세 계산방법) 2 주택자가 1 주택을 매도했을 때 양도세는 얼마일까? 첫번째 주택은 A아파트로 4년 전 취득해 자가로 사용 중이고 두번째 주택은 B아파트로 2년 전 취득해 바로 전세를 놓았다고 가정해 보자. 이때 개인적인 사정으로 첫 번째 주택은 계속 자가로 이용하고 두 번째 주택을 매도하려고 한다. (물론 일시적 2 주택 비과세를 사용하면 좋겠지만 개인 사정이 있어 해당 제도를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일시적 2 주택 비과세란? 두 번째 주택을 취득 후 3년 이내 첫 번째 주택을 매도하면 비과세를 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양도세 얼마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2.32억 양도차익이 발생하면, 0.74억 양도세가 부과되었다. 아래 표를 통해 자세히 확인해 보자. 1. 양도차익 양도차익(2.32억) = 양도가액(7억) - 취득..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