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
대한민국 이혼율? (ft. 통계함정) 매스컴에서 이혼율이 50%라고 하는데 이게 맞는건가? 주변에 이혼하는 사람이 흔한 경우는 아닌 것 같은데. 이상하다. 통계청 자료를 통해 확인해보자. 계산방식 통계청에서 아주 이상한 기준으로 이혼율을 계산하고 있다. 크게 3가지 방식으로 계산하고 있다. 1. 조이혼율 - 당해이혼인구/당해인구전체로 분모를 인구전체대상으로 이혼율을 계산 - 이 지표를 왜 쓰는지 모르겠다. 2. 일반 이혼율 - 당해이혼인구/당해15세이상인구로 분모를 15세 인구대상으로 이혼율 계산 - 이 지표도 문제가 있다 3. 유배우 이혼율 - 당해이혼인구/당해15세이상배우자있는인구로 분모를 15세이상배우자가 있는 인구 대상으로 이혼율 계산 - 이 지표도 역시 문제가 있다. 이혼율을 제대로 계산하려면 결혼을 했고 그 사람을 계속 추적해서 ..
주택임대소득 월세도 세금을 낸다. 세금 얼마일까? 주택임대소득 월세도 세금을 낸다. 세금이 얼마일까? 1. 과세대상 - 1주택자는 기준시가 12억원(고가주택)에서 월세를 받으면 과세대상이다. - 2주택자는 모든 보증금/전세금이 과세대상이다. 2. 주택임대소득세계산 - 임대수입이 2천만원(월166만원) 이하이면 분리과세(세율14%)가 가능하다. - 미등록 임대주택 기준으로 계산해보자. 월세 120만원을 받으면 5.5%의 임대소득세를 내야한다. 결론 2주택자이고 월120만원 임대수익을 받는다면 연80만원(월 6.6만원)세금이 부과되어 실제 113만원을 받게된다.
2주택자가 1주택을 매도했을때 양도세 얼마일까? (ft. 양도세 계산방법) 2 주택자가 1 주택을 매도했을 때 양도세는 얼마일까? 첫번째 주택은 A아파트로 4년 전 취득해 자가로 사용 중이고 두번째 주택은 B아파트로 2년 전 취득해 바로 전세를 놓았다고 가정해 보자. 이때 개인적인 사정으로 첫 번째 주택은 계속 자가로 이용하고 두 번째 주택을 매도하려고 한다. (물론 일시적 2 주택 비과세를 사용하면 좋겠지만 개인 사정이 있어 해당 제도를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일시적 2 주택 비과세란? 두 번째 주택을 취득 후 3년 이내 첫 번째 주택을 매도하면 비과세를 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양도세 얼마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2.32억 양도차익이 발생하면, 0.74억 양도세가 부과되었다. 아래 표를 통해 자세히 확인해 보자. 1. 양도차익 양도차익(2.32억) = 양도가액(7억) - 취득..
결혼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우연히 주언규(구 신사임당)님의 영상을 보았다. => 결혼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중차대한 결정을 할 때에는 반드시 기준과 근거가 있어야 후회가 덜 하다. 이 영상은 결혼 상대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과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30가지이다. 1. 아무 일도 없을 때 행복한가 => 나: 우리 반지하에 있을 때 기분이 어땠어? 아내: 난 행복했어 => 인생에서 90%는 아무 일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 일도 없을 때 행복할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 2. 상호 의존적인 사람인가 => 독립적인 사람이어야 한다. => 회사에 출근했을 때 무언가 계속 물어보고 그래서 이 사람이 걱정이 되면 회사일이 잘 되겠는가? (배우자가 의존적인 사람이면 피곤하다) 3. 부모들이 독립적인가 => 남..
집값 떨어지나? (ft. 호가는 그대로던데) 요새 집값 어떻게 생각하나? 23년 10월부터 아파트값 하락세는 계속되는데 호가는 쉽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아래표 참고) 왜 그럴까? 거래량이 23년9월부터 떨어지는 가운데 몇몇 거래만 이뤄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인다. 국토부 실거래가를 보면 잠실엘스 전용 59 23년 12월 19.3억에 거래되었는데, 24년 1월에는 18.7억에 거래되었다. 창동동아청솔은 전용59 23년 11월 6.45억에 거래되었는데, 24년 1월 5.8억에 거래되었다. 근대. 실제 호가는 어떨까? 떨어졌나? 아니다. 네이버 매물 기준으로 잠실엘스는 전용59전용 59 20억, 창동동아청솔 전용 59는 6.9억에 호가로 형성되어 있다.(중층이상, 세낀 물건 제외) 위에 언급된 물건은 초급매이다. (초급매는 네이버 매물로 찾기 쉽..
24년 주택공급 확대 및 건설경기 보완방안(ft. 국토교통부) 24년 새해, 1월 10일 정부의 굵직한 부동산 정책 자료가 나왔다. 보도자료 (molit.go.kr) 1기신도시 재정비 “임기 내 첫 착공, ’30년 첫 입주 추진”, 60㎡ 소규모 신축주택 구입시 취득 www.molit.go.kr 상세 내용은 위 국토교통부 사이트에 접속하면 관련 문서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한번 살펴보자. 1. 추진방향 - 주택시장 안정된 주거생활을 위해 충분한 주택공급이 필요 - 1인 가구, 고령화 등 사유로 주택 가구는 증가중 * 가구수(만 가구): (`20) 2,073 → (`23) 2,183 → (`25e) 2,231 → (`30e) 2,318 → (`40e) 2,387 - 작년 인허가, 착공 위축되어 공급 감소중 - 고금리,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주택건설 사업성이 크게 악화 ..
분양권, 입주권은 무엇인가? 주의할점? 어떤게 좋을까? 분양권, 입주권은 무엇인가? 어떤 게 좋을 걸까? 지금부터 알아보자 분양권, 입주권이란? 분양권 : 건설사에서 분양하는 신규 아파트 청약 당첨등을 통해서 분양계약하게 되면 받게 되는 권리이고, 입주권 : 재개발, 재건축으로 인해 집을 잃게 된 조합원에게 보상으로 새집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분양권, 입주권 장점과 단점 새 아파트를 들어갈 수 있는 권리라는 점에서 분양권과 입주권은 같지만, 차이점이 있다. 입주권 장점 - 입주권을 가진 조합원은 일반 분양자보다 저렴하게 분양받는다. - 보통 시공사에서 발코니 확장, 가전, 가구 등 혜택을 준다. - 분양자보다 조합원에게 먼저 배정하므로 로열동, 로열층을 먼저 배정받는다. 입주권 단점 - 재건축, 재개발 사업이 언제 진행될지. 알 수가 없어 입주시..
연봉 1억 상위 몇프로? 월실수령은 얼마? 연봉 1억이면 상위 몇 프로일까? 작년 '억대 연봉' 131만명…근로소득 평균은 4천200만원 | 연합뉴스 (yna.co.kr) 작년 '억대 연봉' 131만명…근로소득 평균은 4천200만원 | 연합뉴스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지난해 근로소득을 신고한 노동자 1인당 평균 급여액은 4천213만원이었다. www.yna.co.kr 2022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 인원은 2천54만명이었다. 1인당 평균 금여액은 4천213만원이었다. 연봉 1억은 상위 몇프로 일까? 연말정산 기준 총급여액이 1억원을 초과하는 억대 연봉자는 131만7천명(6.4%)으로 집계되었고, 5년전(80만2천명, 4.3%)보다 51만5천명 증가했다. 2022년 기준 연봉 구간별 점유율은 아래와 같다. 연봉 1억은 월 실수령 얼마일까..
얼마가 있어야 중산층일까?(ft. 2023년 통계청) 얼마가 있어야 중산층일까? 매년 통계청에서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상세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면 된다.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 가계금융복지조사 | 물가 · 가계 | 보도자료 | 새소식 : 통계청 (kostat.go.kr)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 가계금융복지조사 | 물가 · 가계 | 보도자료 | 새소식 : 통계청 통계청 kostat.go.kr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원, 부채는 9,186만원으로 순자산은 4억 3,540만원이다 평균 순자산 4.35억이라고 하는데, 생각보다 적은가? 상위 10%(10분위)에서 전체 자산의 43.5%를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평균의 함정이 있다. 중산층을 무엇으로 나눌 수 있을까..
금리인하, 24년 집값 어떻게 될까? 금리 인하를 하게 되면, 집값 어떻게 될까? 미국 연준이 올해(24년) 금리를 3차례 인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르면 3월, 늦어도 5월에는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국제]미국 올해 3차례 금리 인하할 듯...이르면 3월 시작 | YTN 미국 올해 3차례 금리 인하할 듯...이르면 3월 시작 [앵커]미국 연준이 올해 금리를 3차례 정도 인하할 것으로... www.ytn.co.kr 금리가 인하하면 집값은 상승할까? 아래 그림은 1998년~2018년까지 미국금리와 우리나라 주택가격 상승률이다. - 98년~99년 : 금리 하락, 주택가격 하락 - 00년~01년 : 금리 상승, 주택가격 상승 - 01년~03년 : 금리 하락, 주택가격 상승 - 04년~07년 : 금리 상승, 주택가격 상승 - 08년~..